금/은/원유 투자 어바나이트 2016. 10. 11. 18:17
국제유가 전망: OPEC은 생산량 조절을 할 수 있을까 사우디의 인내가 한계에 달한 듯 합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그 동안 미국의 셰일업체를 상대로 점유율 경쟁을 벌여 왔습니다. 원유의 가격은 지난 2014년 7월 이후 중국의 수요감소와 원유재고 과다로 하락세를 보여 왔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채권매입 정책을 통한 유동성 증가와 각국의 원유수요 증가로 원유의 가격이 배럴 당 6개월이란 짧은 기간 동안 $100를 넘어서게 됩니다. 그 후 2014년 초반까지 배럴당 $110를 넘어서며 산유국들은 그야말로 부를 거머쥘 수 있는 상당히 좋은 기회를 맞게 됩니다. 하락의 원인은 재고과다 하지만 2014년 7월부터 뚜렷한 하락세를 보이게 됩니다. 원인은 거대한 원유를 소비하던 중국에..
금/은/원유 투자 어바나이트 2016. 7. 5. 23:54
2016년 말까지 $50을 유지할 것이다 원유 만큼 모든 산업에 깊숙이 관련되어 있는 원자재는 흔치 않은 듯 합니다. 지나치게 높은 원유의 가격은 전 세계 제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 지나치게 낮은 가격 또한 에너지 기업의 부진과 함께 전체 주가를 하락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국제유가는 내년까지 크게 상승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브렉시트로 야기될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감소와 현 재고의 풍족함이 그 원인입니다. 브렉시트 결정 전 원유의 가격은 배럴 당 $50을 넘으며 상승이 예상되는 듯 했습니다. 하지만 다시 한번 원유 보유량이 문제가 되면서 상당 기간 원유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기대하기란 어려울 듯 합니다. 원유의 역사 지난 2014년 7월 이후로 하락하기 시작했던 원유의 가격은 2016년 1..
금/은/원유 투자 어바나이트 2016. 6. 9. 17:18
국제유가 전망 오랜 기간 침체기를 겪었던 국제유가가 다시 상승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11일 5년 간의 최저치인 배럴 당 $26.21을 기록한 이후, “더 하락할 것이다”라는 일부 전문가들의 전망이 있었지만 이후 국제유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해왔으며, 2016년 6월 초 $51을 넘어섰습니다. 2011년 이후 미국의 양적완화로 국제유가가 배럴당 $112까지 상승하자 미국의 셰일업체들이 생산이 계속되면서 공급의 증가로 2014년 중반 이후로 급격하게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후 2년 간의 침체기를 거쳐 지난 2월 중순 저점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상승 중입니다. 여러 부정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유가가 상승하는 원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앞으로 지속적인 상승이 가능할까요? 1. 나이지리아의 공급차..
금/은/원유 투자 어바나이트 2016. 4. 29. 14:54
국제유가 전망: 지난 주말 카타르에서 사우디를 비롯한 중동의 산유국들이 미팅을 가졌습니다. 국제유가가 장시간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에 대해 산유량 감소로 시장을 자극을 주기 위함이었죠. 아무래도 생산량이 감소하면 가격이 올라가게 되는 이치니까요. 하지만 오랜 경제재제 속에 이제 겨우 원유판매를 시작한 이란으로는 이러한 산유량 감소에 동의할 수가 없었겠죠. 이란은 회담에 참석하지 않았고, 결국 회담은 결렬이 됐지만 미국의 원유재고가 ‘드디어’ 감소하면서, 다시 가격은 올라가고 있습니다. 2016년 4월 29일 현재 WTI는 배럴당 $46.03를 기록하며, 지난 27일 하루 동안 3.28% 상승했으며, 어제도 역시 1.5% 이상 상승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두바이유와 브렌트유 역시 상승하고 있습니다. 지난..
금/은/원유 투자 어바나이트 2015. 7. 4. 00:36
국제유가: 상해종합증시 하락과 원유재고증가로 인한 하락 움직임 현재 유가는 여러 하락요인에 직면해 있습니다 – 미국과 유럽의 높은 크루드 오일 재고량, 미국 셰일오일의 생산량 회복, OPEC의 원유 생산량 증가, 이란과의 핵 협상, 그리고 그리스 사태로 인한 혼란 등 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 외에도 아직 드러나진 않았지만, 세계 원유의 최대 수입국인 중국의 경제붕괴 입니다. 2000년대 중반까지 10%가 넘는 연간 경제성장률을 자랑하며, 세계의 원자재를 흡입하는 하마라는 별칭까지 얻으며, 국제 원유가격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던 주역인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최근 들어 하락하고 있습니다. 2014년은 중국 경제에 있어서 지난 25년간 가장 낮은 경제성장률은 기록한 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세계 제..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