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호주달러 환율 전망: 상승하는 원화

미국 금리인상과 기준금리 동결의 영향


이번에 열린 RBA (Reserve Bank of Australia) 통화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의 1.5%를 그대로 유지시키기로 결정을 내렸습니다.  Australia는 명목상 GDP 기준 세계 13위를 기록하고 있는 각종 원자재가 풍부한 원자재 부국이기도 합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중국의 성장과 함께 원자재 수요가 급증하면서 브라질과 함께 그 수혜를 본 대표적인 국가이기도 합니다.  2007년 금융위기 이전까지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의 시세는 중국의 수요증가와 함께 가격이 올라갔고, 브라질 등의 원자재 수출 국가는 호황을 누렸습니다.  


pixabay.com


이후 2008년 금융위기 이후로 급락했던 원유와 원자재 가격은 다시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동시 다발적인 양적완화 정책으로 유동성을 증가시키면서 돈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자, 원유와 원자재, 금 등의 가치는 6개월이라는 단시간에 100% 이상 상승하는 효과를 낳게 됩니다. 



물론 이 과정에 가장 큰 수혜자는 자금의 흐름을 읽고 원자재에 투자했던 투자자들과, 그리고 바로 이러한 원자재 부국이었죠.  하지만 2014년 이후 중국의 경제성장률 저하와 함께 시작된 원자재 가격의 하락은 좀처럼 끝날지 모르고, 현재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두 번의 금리인하와 목적


일본과 중국, 그리고 유럽에 이르기까지 채권매입은 물론 마이너스 금리까지 사용하며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노력하는 가운데,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올해 두 차례 금리인하를 단행했었습니다.  바로 지난 5월 3일과 8월 2일, 이렇게 두 차례 금리를 0.25%씩 인하시켰습니다.  금리를 인하하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금리를 낮춤으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것과, 또한 통화의 가치를 내려서 수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pixabay.com


이렇게 올해 두 차례의 금리인하를 통해서 총 0.5%의 금리를 인하한 중앙은행 (RBA)은 많은 전문가들의 예상과 같이 이번에는 기존의 금리를 유지하겠다고 발표를 했습니다. 


이번의 금리 동결에 대해서는 아직 미국이 올해 안에 금리를 인상할 것인가의 여부가 불분명하고 또한 지난 두 번의 금리인하 효과가 어떻게 경제전반에 나타나는지 지켜보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호주환율: 미국 USD 대비


이렇게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호주달러는 USD 대비 5일 연속 가치가 증가했습니다.  이는 미국의 금리인상의 시기와 여부가 분명치 않고, 또한 현재 디플레이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본과 유럽 등 전 세계 다른 국가와 비교했을 때 양호한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AUD/USD: 1년간의 변화

Yahoo.com


아이러니한 것은 이렇게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USD 대비 호주환율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1월 중순과 비교했을 때 현재까지 USD 대비 11%가 가치가 증가 했습니다.  이번의 금리동결로 역시 USD 대비 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중앙은행은 당분간은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여부를 유심히 지켜볼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만일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게 된다면, 통화의 가치는 하락하게 될 것이고, 굳이 추가 금리인하를 하지 않고도 경기부양과 환율하락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원화 대비 


호주환율은 이번에 기준금리를 동결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원 (won)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렇게 세계 여러 통화 대비 원화가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미국의 비농업부분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고, 또한 서비스 지수 또한 낮아지면서 금리인상 가능성이 낮아졌기 때문입니다. 


AUD/KRW: 3개월간 변화

Naver.com


연준 관리들이 연신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만, 사실 시장의 분위기는 이미 가능성이 현저하게 낮아졌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신흥국으로 투자하려는 투자자금이 몰려들면서 특히 원화의 가치 상승이 두드러집니다. 



이번의 한국 원의 강세는 지난 2번의 금리인하와 더불어 투자자금이 한국으로 몰려들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보입니다.  당분간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하락하면서, 하락세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