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분석 어바나이트 2015. 10. 31. 15:36
국제수지 (Balance of Payment): 경상수지와 자본수지 돈을 잘 관리하는 많은 가정들이 가계부를 가지고 있듯이, 한 나라에도 외국과의 거래를 기록하는 일종의 가계부가 있는데, 이렇게 외국과의 경제활동 거래를 기록한 것을 국제수지라고 부릅니다. 이 국제수지를 통해서 한 나라의 경제상태와 자금흐름을 한 눈에 요약해서 알아볼 수 있으므로, 한 나라의 경제를 분석하는 필수지표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국제수지를 결정하는 요소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국제수지는 크게 경상수지와 자본수지, 준비자산증감과 오차 및 누락으로 나뉩니다. 국제수지표 from 한국은행 1. 경상수지 (Balance of Current Account) 경상수지는 한 나라가 세계 여러 나라와의 거래 중 자본거래를 제..
투자분석 어바나이트 2015. 10. 23. 17:08
보통주와 우선주 (Common Stock / Preferred Stock)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여러 의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자본주의의 가장 큰 특징은 어느 개인이 회사를 만들고 고용을 하며, 이익을 만들고, 또 자신이 키운 기업을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과정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이렇게 기업을 성공시킨 개인들은 수익을 내서 자신을 부유하게 할 뿐 아니라 고용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수익을 월급이라는 형태로 지불하고, 또 주식을 판매하는 행위를 통해 회사를 통해 얻은 수익을 많은 사람들과 나누어 갖는다는 것에 가장 큰 매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의 대표적인 투자수단인 주식의 특징과, 이러한 주식이 갖는 의미, 그리고 주식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기업이 주..
투자분석 어바나이트 2015. 10. 22. 18:31
운전자본 (Working Capital): 기업의 단기상환능력 운전자본 (working capital)은 기업을 운영해 나가는데 필요한 자금의 유동성을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기업이 단기부채에 대한 이자와 원금을 지불할 수 있고, 영업을 해나가는데 필요한 자금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충분한 운전자본을 유지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운전자본은 기업이 단기부채를 갚을 수 있는 충분한 자금을 가지고 있는가를 말해줍니다. 운전자본 = 유동자산 (Current Assets) - 유동부채 (Current Liabilities) 운전자본 2 기업이 지나치게 많은 유동자금을 가지고 적절히 투자하지..
투자분석 어바나이트 2015. 10. 17. 12:15
기업의 활동성 지수: 총자산회전율 / 매출채권회전율 기업의 기본적인 활동은 일반적으로 좋은 물건을 생산하거나 발굴해서 적절한 유통경로를 통해서 판매하여 매출을 올리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활동성을 측정하는 지수로 총자산 회전율과 매출채권 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이 있습니다. 이 세가지 수치가 높다면, 일반적으로 기업 경영진이 기업의 매출을 활발하게 이끌어가고 있다고 봐도 무관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총자산회전율 (Asset Turnover Ratio) 과 매출채권회전율 (Account Receivable Turnover Ratio)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총자산회전율 (Asset Turnover Ratio) 총자산 회전율은 기업의 자산으로 얼마만큼의 매출액을 올리고 있는가를 측정하..
투자분석 어바나이트 2015. 10. 13. 15:44
기업의 안정성 평가지수: 부채비율/부채 대 자본비율 (Debt/Equity Ratio) 투자를 위한 기업분석 요소 중 기업의 부채비율을 알아보는 것은, 기업의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검토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절차로 여겨집니다. 부채 대 자본 비율은 부채 비율의 일종으로 기업의 타인자본과 자기자본을 비교 측정하는 지수로, 기업의 타인자본에 대한 의존도를 나타냅니다. 다른 부채비율과 마찬가지로, 수치가 적을수록, 기업이 더 적은 빚을 사용하고 안정적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부채 대 자본 비율 = 전체 부채 / 자기자본 = Total Liabilities / Total Equity 부채비율은 기업이 공급자와 채권자 들에 대한 모든 채무를 제하고, 기업의 청산 시 주주들에게 돌아갈 수 있는 비율을 측정하는데도 사용..
투자분석 어바나이트 2015. 10. 6. 18:03
콜옵션부사채 (Callable bond)와 풋옵션부사채 (Putable bond) 회사가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채권 중 발행 옵션에 따라 나뉘어지는 채권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콜옵션부사채 (Callable bond) 콜옵션부새채 (Callable Bond)는 채권을 상환할 수 있는 권리가 채권 발행자에게 부여된 채권을 말합니다. 즉, 발행자가 채권의 만기 이전에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채권을 되살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콜옵션부사채는 보통 채권 액면가보다 높은 금액을 채권 소유주에게 지불하고 만기 이전에 채권을 상환할 수 있는 옵션이 부과된 채권입니다. 이때 채권 액면가 이상 지불되는 금액을 콜 프리미엄 (Call Premium) 이라고 부릅니다. en.wikipedia.o..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