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분석 어바나이트 2015. 10. 5. 15:40
채권의 개념과 특징 일반적으로 주식에 비해 채권에 대한 관심이 그리 크지 않은 가운데, 금융 선진국의 경우에는 일반 투자자들이 채권에 투자하는 비율은 큰 편입니다. 그리고 증권사에서 주식형으로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펀드일지라도, 처음부터 채권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펀드를 찾기란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만큼 주식의 성장성과 더불어 전체 펀드에 안정성을 부과하기 위해서 쓰는 투자도구가 채권입니다. 주식시장이 상승하는 시점에서 주식보다 자산의 상승폭이 크지 않은 채권은 그리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주식시장의 하락시기에는 채권이 주는 고정적인 이자와 원금보장이 위험을 분산시키고 안정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많은 투자자들이 자산 포트폴리오에 채권을 포함시키는 이유입니다. 채권이란? 채권 (Bond) 은..
투자분석 어바나이트 2015. 10. 3. 20:08
단기금리: 기준금리/콜 금리/CD 금리/CP 금리 모두가 이미 알고 있듯이 금리란 이자의 다른 언어이며, 돈을 빌리는 사용료를 뜻합니다. 금리란 현재의 소비를 포기한 대가로 받을 수 있는 수익을 말하며, 돈을 빌리는 당사자의 미상환 위험이 높을수록, 금리 또한 증가하게 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금리가 우리의 경제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금리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금리가 우리의 경제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금리는 크게 1년을 기준으로, 1년 이내에 거래가 이루어지는 단기금융시장과, 1년이 넘는 장기금융시장으로 분류됩니다. 오늘 살펴볼 금리는 단기금리로서 단기금리의 종류와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1. 기준금리 한 나라의 금리체계의 기준이 되..
투자분석 어바나이트 2015. 9. 25. 22:27
재무제표 분석: EPS (주당순이익)과 PER (주가수익비율)의 의미 개인적인 투자성향으로는 개별 주식에 대한 투자보다는, 전체 시장을 대변하는 인덱스펀드의 구입을 주장하는 일인이지만, EPS와 PER 에 대한 개념정리는 주식시장에 투자하기 전에 반드시 숙지해야할 개념이라고 생각됩니다. 개별주식에 대한 분석력과 더불어 전체 금융시장에 대한 분석 역시 기업의 수익성 지표를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어려운 만큼, 기업의 수익성을 분석하는 대표 지수인 EPS (주당순이익)과 PER (주가수익비율)의 개념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자 합니다. EPS (Earning per Share) EPS (Earning per Share) 는 기업이 일정기간 벌어들인 이익을 기업이 발행한 전체 보통주식의 수로 나눈 값입니다. EPS ..
투자분석 어바나이트 2015. 9. 18. 18:36
DTI (총부채상환비율: Debt to Income)의 정의 담보대출 신청시 금융기관이 채무자의 상환능력을 알아보는 기준치가 되는 비율입니다. DTI (총부채상환비율)은 채무자의 연간 채무액의 합을 채무자의 연간 수입과 비교해서 산출하는 수치로, 이 수치가 낮을수록, 즉 수입이 높고 상환해야 하는 연간 대출금액이 낮을수록 상환능력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DTI (총부채상환비율) = 연간 부채상환액 / 연간 수입 DTI (총부채상환비율)는 정부가 부동산 시장을 조절하기 위해서 기준금리와 함께 사용하는 정책적 도구로, 흔히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었다고 판단하면 DTI 규제를 완화시켜 일반인들이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어, 주택 거래를 활발하게 만드는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 시장..
경제/금융/투자 어바나이트 2015. 9. 14. 16:50
미국증시는 과연 폭락할 것인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신흥국들의 자금이 유출되며, 현재 가장 강건한 성장을 보이고 있고 경제위기 중 안전한 투자처라는 명성을 가지고 있는 미국의 금융시장에 몰리고 있습니다. 미국의 S&P 500는 지난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2009년 2월 초 최저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이후 125%가 넘는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미국의 IT 관련주인 애플과 구글 등이 미국증시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금융위기 이후 다시 살아난 금융주와 헬스케어주 등이 선전하며 지난 6년간 견고한 성장을 이루어 왔습니다. 지난 6년간 100% 이상의 성장을 보인 미국증시 GDP 대비 시가총액 비율 사실 미국증시가 과열되었고 곧 폭락하게 될 것이라는 미국증시 거품론은 2013..
경제/금융/투자 어바나이트 2015. 9. 13. 01:56
성장하고 있는 폴란드 경제 2000년대 중반 유로화는 미국 달러화 대비 1.5 배의 가치를 가지고 있었고, 유럽은 견고한 성장세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사회주의 체제에서 자본주의로 들어선 동유럽 국가들은 서유럽이 주도하는 단일화폐를 사용하는 유로존에 합류하기 위해서 줄을 섰던 적이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동유럽 국가들은 부유한 서유럽이 주도하는 유로존에 합류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단일화폐의 장점을 통해서 부유한 서유럽의 일부가 되고자 했습니다. 폴란드도 이러한 국가들 중에 하나였죠.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폴란드는 결국 19개의 유럽국가로 이루어진 유로존에 합류할 것처럼 보여졌습니다. 하지만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연합에 가입했던 2004년에서 10년 이상이 지난 지금, 폴란드는 유로존에 가입하지 않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