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투자 어바나이트 2015. 9. 14. 16:50
미국증시는 과연 폭락할 것인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신흥국들의 자금이 유출되며, 현재 가장 강건한 성장을 보이고 있고 경제위기 중 안전한 투자처라는 명성을 가지고 있는 미국의 금융시장에 몰리고 있습니다. 미국의 S&P 500는 지난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2009년 2월 초 최저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이후 125%가 넘는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미국의 IT 관련주인 애플과 구글 등이 미국증시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금융위기 이후 다시 살아난 금융주와 헬스케어주 등이 선전하며 지난 6년간 견고한 성장을 이루어 왔습니다. 지난 6년간 100% 이상의 성장을 보인 미국증시 GDP 대비 시가총액 비율 사실 미국증시가 과열되었고 곧 폭락하게 될 것이라는 미국증시 거품론은 2013..
경제/금융/투자 어바나이트 2015. 9. 13. 01:56
성장하고 있는 폴란드 경제 2000년대 중반 유로화는 미국 달러화 대비 1.5 배의 가치를 가지고 있었고, 유럽은 견고한 성장세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사회주의 체제에서 자본주의로 들어선 동유럽 국가들은 서유럽이 주도하는 단일화폐를 사용하는 유로존에 합류하기 위해서 줄을 섰던 적이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동유럽 국가들은 부유한 서유럽이 주도하는 유로존에 합류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단일화폐의 장점을 통해서 부유한 서유럽의 일부가 되고자 했습니다. 폴란드도 이러한 국가들 중에 하나였죠.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폴란드는 결국 19개의 유럽국가로 이루어진 유로존에 합류할 것처럼 보여졌습니다. 하지만 동유럽 국가들이 유럽연합에 가입했던 2004년에서 10년 이상이 지난 지금, 폴란드는 유로존에 가입하지 않아도..
경제/금융/투자 어바나이트 2015. 9. 11. 19:43
미국은 왜 금리를 인상하려 하는가 지난 9월 5일 세계 주요 20개국의 재무장관 회의가 터키의 앙카라에서 개최되었습니다. 현재 전 세계 경제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중국의 경기둔화가 주요 의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IMF의 수장인 라가르드 총재는 올해 안에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언급했던 미국의 연방준비위원회를 향하여, 금리를 인상하지 말 것을 요구했습니다. 세계경제는 미국의 금리인상과 더불어 세계의 소비를 이끌고 있었던 중국경제의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본격적으로 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 이미 자금이 빠져 나가기 시작한 신흥시장의 위기로 전 세계금융시장의 충격이 실물경제로 이어질 것이 자명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왜 미국의 연준은 금리를 인상하려고 할까요? 1. 통화정책 확보차원한..
경제/금융/투자 어바나이트 2015. 9. 10. 17:14
중국발 세계경제위기 (Recession)의 가능성 세계경제에 다시 경고등이 켜지고 있습니다. 지난 수요일 세계적인 금융기관인 시티은행의 분석가들은 다음 2~3년 안에 일종의 세계 경제위기가 다시 발생할 확률이 55%에 달한다고 보고 했습니다. 지난 20년간 세계경제 위기를 발생시킨 주범이 미국인 것에 비해, 이번에 다가 올 위기는 신흥시장의 수요감소로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세계 제 2위의 경제로 부상한 중국이 그 원인이 될 전망 입니다. 지난 2000년대 중반까지 연간 GDP 성장률 10%를 넘으며 급속히 성장하던 중국경제는 2010년을 넘어오면서 그 성장률이 하향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중국정부의 목표 경제성장률인 7%에 훨씬 밑도는 4%에 가깝게 가고 있습니다. 만일 중국정부가 예상한 ..
경제/금융/투자 어바나이트 2015. 9. 3. 17:04
하락하는 태국경제와 태국바트 1998년 아시아의 신흥국을 휩쓸었던 외환위기의 시발점이 되기도 했었던 태국은 세계 금융시장이 출렁일 때마다 통상적으로 언급되곤 하는 관심국이 되어버린 듯 합니다. 동남아시아의 제2의 경제국으로서의 태국의 위치와, 2008년 외환위기 처럼 한 국가의 유동성 위기가 충분히 주변국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태국 뿐 아니라 우리 주변국들의 경제상황을 지켜봐야 하는 이유가 되고 있습니다. 태국의 바트 (Baht)는 지난 7월 10일 미국 달러 대비 가장 큰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그 후 잠깐의 리바운드가 있었지만, 그 후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지난 6개월간 10% 가까이 하락했으며, 현재 지난 6년 대비 최저환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 국가의 통화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에는 많은 ..
경제/금융/투자 어바나이트 2015. 8. 31. 15:38
미국의 금리인상은 역사적으로 대부분 재앙으로 끝났다. 올해 안에 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언급했던 미국 연준 의장인 자넷 옐런의 말처럼, 미국의 금리인상 시점이 얼마 남지 않은 듯 합니다. 미국 주식이 지나치게 과대평가 되어있다는 인식과 중국 주식시장의 폭락으로 영향을 받은 미국의 S&P 500는 지난 주 급락하며, 일각에서는 금리인상으로 오게 될 잠재적 경기침체를 두려워 하는 연준이 다시 채권을 매입하는 양적완화 정책을 시행하게 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미국 금리인상의 역사 지난 40년간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저지시키기 위해 금리인상을 통한 긴축재정을 실시했던 적은 4번이었습니다. 모두 그 결과는 좋지 못했죠. 미국 연준이 금리인상을 시도했던 매번 고용률과 생산량은 연준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많이 감..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